이전 글에 적은 계획대로 공부했다.
딱 한가지 책만 샀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145428
2013 데이터아키텍처 자격검정 실전문제 The Teat Book for Data Architecture Professional
데이터아키텍처 전문자격(DAP, Data Architecture Professional) 대비 실전문제집.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세부 업무에 대해 자격검정에 출제되는 형식의 문제와 자격 검정안내 등에 대하
www.aladin.co.kr
어차피 문제가 곧 이론이고, 문풀이 곧 공부인 것들이 이런 시험들이다보니
문제를 읽어보고, 해설에 있는 내용을 이론으로 해서 문제집쪽으로 단권화를 시켰다.
빈출되거나 아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은 내용은 검색을 통해 공부하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데이터온에어의 DA가이드 부분을 많이 참조했다. 아마 기본서의 내용이 여기 내용과 유사할 것이다.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guide/da-guide/?pageid=8&mod=list
DA가이드 – DATA ON-AIR
dataonair.or.kr
DA가이드는 양이 굉장히 방대한데, 그것을 다 보지는 않았다. 전체적으로 한번 훑어보려고 했는데, 친절하게 작성되어 있지는 않아서 문제집 기반으로 공부하다가 필요한 부분 위주로 읽어보았다.
원래는 정보를 시각화하면서 공부하는 걸 좋아하는데(with Thinkwise) 이번 DAsP는 준비기간이 짧고, 그 양이 적지 않아서 단권화만 했다.
점수는 딱 합격점에 턱걸이 하는 수준으로 나왔다.
시험은 처음에 링크로 올린 2013 문제집과 어느정도 유사성을 느낄 수 있는 문항들이 출제되었지만, 아무래도 2021년말이면 8년이상이 지났다보니 전혀 익숙하지 않은 문제들도 많이 나왔다. 그래서 고득점을 하기엔 아무래도 해당 분야 종사자도 아니고 DB쪽을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는 내 상태에선 원래 힘들었을 것 같다. 합격은 고득점/턱걸이 합격 나눠서 합격도 아니고, 그냥 합격이기도 하니 괜찮지만..
DAsP는 국가공인이 아닌 민간공인 자격증이고, DA 혹은 DBA 시장 자체가 크지 않고, 기업에서 많이 인정받거나 요구되는 자격증도 아닌만큼 교육시장에서 현재 이 쪽을 케어해주시는 분이 없는 것 같다. 내가 공부한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DAsP를 준비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일천한 경험을 기록해본다.